반응형
Openstack Image들 중에 Ubuntu, CentOS의 경우는 그냥 ISO를 받아서 다운하면 바로 glance로 이미지를 생성 할 수 있다.
하지만 윈도우의 경우는 윈도우 서버만 Cloud Base에서 제공해주는 듯 하고, 윈도우 7 같은 이미지는 직접 만들어야 한다.
그래서 만드는 방법을 정리를 해 본다.
- windows iso, virtio iso 파일이 필요 (/var/lib/libvirt/images 에 복사해둔다)
- Ubuntu 에서 KVM으로 VM 생성 (virt-manager 사용)
- 생성할 때 network type은 virtio 로 구성하고 윈도우 인스톨
- 설치 후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안잡히는 경우가 많으니 위에 2개의 iso를 cdrom으로 만들어서 수행해야 한다. 방법은 윈도우 VM만들 때 Add Hardware에 CDROM을 추가 하고 아래 링크에 있는 iso를 attach 시킨다.
- https://fedorapeople.org/groups/virt/virtio-win/direct-downloads/stable-virtio/virtio-win.iso
- 그리고 나서 보통 윈도우 설치 하듯이 설치를 하고 나서 재부팅이 되는데, 그럼 역시 네트워크가 인식이 되지 않는다
- 위에서 cdrom에 넣은 디렉토리안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브나 다른 pci 드라이브를 설치하고 vm의 cdrom을 제거하기 위해 shutdown 한다.
- Glance에 이미지를 등록하고 nova에서 vm을 생성하게 되면 disk가 virtio로 생성이 되는데, 위에서 생성한 이미지에 virtio scsi 드라이버가 있어야지 VM이 생성된다. 그래서 윈도우 설치할 때 virtio scsi 드라이버를 설치 해주 던지, 아니면 virtio disk를 하나 생성해서 attach 시키고, 작업관리자에서 virtio 드라이버를 설치 해준다(위의 virtio-win.iso는 여전히 attach)
- 기본 windows 7의 익스플로러가 버전이 낮기 때문에 ie11로 설치 해둔다 ( https://www.microsoft.com/ko-kr/download/Internet-Explorer-11-for-Windows-7-details.aspx )
- 그리고 나서 cdrom, 추가로 붙인 virtio disk를 detach 시키고 vm을 reboot 시킨다
- 나중에 RDP로 붙어야 하기 때문에 원격설정을 미리 해둔다
- 이제 cloudbase-init을 실행한다. default로 수행하고, 끝날때 sysrep 항목에 둘다 체크 하고 종료한다.
- 12번까지 수행하면 윈도우 이미지는 /var/lib/libvirt/images 아래에 qcow2로 생성이 되어 있고, qcow2 이미지 이기 때문에 바로 glance로 image를 등록한다. glance image-create 어짜고 저짜고...
- VM 생성 확인
결론은 네트워크, 디스크의 virtio driver를 미리 vm에 설치해두는게 윈도우 VM 생성의 가장 큰 작업이다
반응형